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의 법정공휴일 총정리|공휴일과 국경일, 기념일 차이까지
    물결노트 2025. 4. 21. 07:18



    한국의 법정공휴일, 정확히 몇 날인가요?


    한 해를 계획하다 보면, 가장 먼저 달력을 펼치고 쉬는 날부터 찾게 됩니다.
    그런데 이 ‘쉬는 날’은 어떻게 정해질까요?
    모두가 쉬는 날 같지만, 그 기준과 명칭은 조금씩 다릅니다.





    법정공휴일이란?


    ‘법정공휴일’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따라 정해진 관공서의 휴무일입니다.
    관공서가 쉬는 날이라는 뜻이지요.
    현재는 대부분의 학교와 민간기업도 이 날을 기준으로 휴무를 운영하지만,
    민간 사업장에는 법적 강제성이 없습니다.





    한국의 법정공휴일 (기준: 관공서 공휴일 규정)

     

                                                                                                     
    구분 날짜 비고
    신정 1월 1일 양력 새해
    설날 연휴 음력 1월 1일 전후 3일 매년 날짜 다름
    삼일절 3월 1일 국경일
    어린이날 5월 5일 대체휴일 발생 가능
    부처님오신날 음력 4월 8일 2023년부터 대체휴일 적용
    현충일 6월 6일 조기 게양일
    광복절 8월 15일 국경일
    추석 연휴 음력 8월 15일 전후 3일 매년 날짜 다름
    개천절 10월 3일 국경일
    한글날 10월 9일 국경일
    성탄절 12월 25일 기독교 계열 공휴일


    ※ 여기에 임시공휴일, 선거일, 국가장일 등은 상황에 따라 추가 지정될 수 있습니다.
    ※ 대체휴일 제도는 어린이날·설날·추석·부처님 오신 날이 토요일이나 일요일과 겹칠 때 발생합니다.





    국경일과의 차이는?


    많은 분이 ‘국경일 = 공휴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조금 다릅니다.

    구분 법정공휴일 국경일
    기준 법령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국경일에 관한 법률
    목적 관공서 휴무일 지정 역사적 의미 기념
    쉬는 날 여부 대부분 쉬는 날 제헌절 제외하고 쉬는 날
    대표 예시 설날, 추석, 부처님오신날 등 삼일절, 광복절, 한글날 등


    즉, 공휴일은 ‘쉬는 날’에 초점,
    국경일은 ‘기념의 의미’에 초점이 있습니다.
    두 개념이 겹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념일은 또 다른 개념입니다


    공휴일, 국경일과 달리 ‘기념일’은 더 넓은 개념입니다.
    스승의 날, 성년의 날, 밸런타인데이, 경찰의 날처럼
    어떤 의미나 대상을 ‘기념’ 하기 위해 지정된 날이지만,
    대부분 쉬는 날은 아닙니다.
       • 법정 기념일: 정부나 법령에 의해 지정된 공식 기념일
       • 비공식 기념일: 업계·단체·사적 의미로 만들어진 날







    ‘공휴일’이라는 말에는 단지 휴식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 구조를 이해하면, 단순히 날짜만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와 의미를 함께 바라보게 됩니다.







© 2025 물결노트. All Rights Reserved.